1. 나의 생각 흐름
제한 조건을 보고 뭔가 더 겁을 먹었던 문제였다. 제한 조건을 빼놓고 본다면 정말 간단하기 짝이 없는 문제인데 일부러 혼란을 주기위해 제한조건을 걸어놓은게 아닐까..추측해본다. 우선 제한조건은 크게 신경쓸 필요가 없다. 그래서... 나는 Number()함수를 사용하기로 생각했다.
2. 내 코드
function solution(s) {
let answer = 0;
answer = Number(s);
return answer;
}
정말 간단하게 풀어냈다. 제일 풀이가 짧아서 좋았던 문제였다.
Number()함수 : ( 문자열 -> 숫자 )로 변환하는 함수
Number( object )
object : 문자열 또는 문자열을 값으로 하는 변수 등을 입력한다.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값인 경우 NaN을 반환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Number.isNaN() => 주어진 값이 NaN인지 확인하는 함수
3. 다른사람들의 코드
function strToInt(str){
return str/1;
}
아는 것이 많으면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한 것 같다. 이렇게 풀어낼 수 있도록 더 분발해야겠다.
4. 결론
너무 어렵게 복잡하게 생각말자. 간단하게 생각해보려 노력하자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rogrammars] 핸드폰 번호 가리기 (JavaScript) (0) | 2022.02.03 |
---|---|
[Programmars]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(JavaScript) (0) | 2022.02.03 |
[Programmars] 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 (JavaScript) (0) | 2022.02.01 |
[Programmars]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(JavaScript) (0) | 2022.02.01 |
[Programmars] 두 정수 사이의 합 (JavaScript) (0) | 2022.02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