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나의 생각 흐름
배열 메소드인 reverse를 사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. 그래서 숫자인 num을 문자열로 변환시켜줘야했고 이걸 각각의 문자열로 바꾸어서 다시 묶어준 후, 정수로 변환시켜야겠다고 생각했다.
2. 나의 코드 정리
const sameReverse = num => {
let answer = parseInt(num.toString().split('').reverse().join(''));
// 배열 메소드 reverse를 사용해야해서 숫자num을 toString으로 문자로 바꿔준 후, split을 통해
// 각각의 숫자로 만들어준 후, reverse를 통해 반대로 숫자 배열을 만들어준다
// 그 후, join메소드를 통해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고 나서 다시 숫자로 만들어주기위해
// parseInt를 써준다.
if( answer === num){return true;}
// 위의 num의 정반대인 answer와 num을 비교해서 같은 값이면 true를 반환해주고 다른값이면 false
// 를 반환해준다
else{return false;}
}
3. 결론
1번 문제와 비슷한 유형의 문제이다. 배열 메소드를 사용하기 위해선 문자열로 꼭 변환해야한다는 점과 그 후, split으로 그 숫자를 하나하나씩 쪼갠 후 뒤집고 나서 join으로 합쳐준 것을 다시 숫자로 변환해야한다는 것을 알면 for문을 사용하거나 복잡하게 여러줄 쓰지 않아도 구현이 가능하다. 적절하게 메소드를 잘 사용할 줄 아는 연습부터 많이 해야할 것 같다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odeKata] Week 2 - Day 2 (JavaScript) (0) | 2022.02.26 |
---|---|
[CodeKata] Week 1 - Day 5 ( JavaScript ) (0) | 2022.02.18 |
[CodeKata] Week 1 - Day 2 ( JavaScript ) (0) | 2022.02.15 |
[Programmars] K 번째 수 (JavaScript) (0) | 2022.02.15 |
[CodeKata] Week 1 - Day 1 (J.S) (0) | 2022.02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