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code [TIL]

[TIL] Git & Git-hub ( 2탄 )

프린벼르 2022. 2. 26. 17:41

Git(ver.2) 표지

저번 1탄에서는 Git이 무엇인지, Git의 명령어, Git에 관한 설명과 왜 필요한지에 관한 이유들에 대해 포스팅했다. 이번 2탄에서는 Git의 명령어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한다. 오늘 다룰 포스팅은 Git 실습이 되겠다.


0. Git 설치 및 기본 명령어

1) Git 설치하기
git --version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//  다음 명령어 실행 시 Git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.

만약 Git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, 최신 버전의 Git을 설치하고 싶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.

  • 패키지 설치
    $ sudo apt-get install git-core

 

1. 디렉토리 이동

1) 홈 디렉토리로 이동

$ cd ~

2) 새 디렉토리에 디렉토리명을 생성

$ mkdir [디렉토리명]

3) [디렉토리명]로 이동

$ cd [디렉토리명]

4) 부모 디렉토리로 이동

$ cd ..

5) 현재 경로를 출력 

$ pwd     // Print Working Directory

6) 디렉토리의 내용 출력

$ ls

7) 디렉토리의 폴더 상세 정보까지 출력

$ ls -l

8) 디렉토리의 숨김 파일과 디렉토리까지 출력

$ ls -a           // 옵션은 합쳐서 ls -al 처럼 사용 가능

9)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를 내용물과 함께 삭제

$ rm -r [디렉토리명]

10) vi 편집기로 [파일명.확장자명] 파일 작성

$ vim [파일명.확장자명]

11) 터미널 창 내용 삭제

$ clear

12) 터미널 창 종료

$ exit

2. git 유저 / 업로드 설정

1) 현재 위치에서 지역 저장소를 생성

$ git init

2) 깃 환경에서 사용자 이름을 [사용자명]으로 지정
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[사용자명]"

3) 깃 환경에서 사용자 이메일을 [사용자이메일명]으로 지정
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[사용자 이메일명]"

4) 깃 상태 확인

$ git status

3. commit 명령어

1) [파일명.확장자명]을 스테이지에 올림

$ git add [파일명.확장자명]

2) 커밋 메시지 [메시지명]을 붙여 커밋

$ git commit -m "[메시지명]"

3) 메시지 [메시지명]을 붙여서 스테이징과 커밋을 동시에 진행

$ git commit -a -m "[메시지명]"

4) 커밋 수정하는 법

파일 수정 한 뒤
$ git add .
$ git commit --amend  : 최신 커밋 수정

4. 브랜치 명령어

1) 새로운 브랜치 [브랜치명] 생성

$ git branch [브랜치명]
  • 브랜치 조회하기
$ git branch

2) [브랜치명]으로 체크아웃(이동)

$ git checkout [브랜치명]
$ git checkout -b [브랜치명]  # 브랜치만들고 바로 이동
  • 브랜치 삭제
$ git branch -d 브랜치명

3) 최신순으로 커밋 로그 확인

$ git log

4) 전체 디렉토리를 staging area에 추가

$ git add .

5) 커밋 로그에 각 브랜치의 커밋을 그래프로 표시

$ git log --branches --graph

6) [브랜치명]을 master 브랜치와 병합

$ git merge [브랜치명]
$ git merge [브랜치명] --edit // 병합 후 바로 vi 편집기가 나오면서 커밋 메시지 수정 가능
$ git merge [브랜치명] --no-edit // 커밋 메시지 수정없이 바로 병합

7) merge 취소하기

$ git merge --abort

5. git hub 원격 저장소

1) 원격 저장소에 연결

$ git remote add origin [github 레포지 주소]
$ git remote add origin [branch 이름]   #없으면 생성됨

2) 원격 저장소에 연결됐는지 확인

$ git remote -v

3) 지역 저장소의 커밋을 맨 처음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경우

$ git push -u origin master

4) 3번을 한 후에 지역 저장소의 커밋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경우(업로드)

$ git push
$ git push origin master

5) 원격 저장소의 커밋을 지역 저장소로 가져옴

$ git pull
$ git pull origin master

6)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- 첫번째 커밋이 아니라면 pull 먼저하기

$ git clone [원격 저장소 주소]

 

7) [브랜치명]을 만드는 것과 동시에 체크아웃(그 브랜치로 이동)

$ git checkout -b [브랜치명]

8) 원격 저장소에 [브랜치명]의 브랜치의 커밋을 push

$ git push origin [브랜치명]

9) 원격저장소 삭제

$ git remote remove origin